[펌]글/알아두자

[스크랩] 산사,열매, 아가위

목나무잎새 2013. 7. 21. 00:01

산사열매의 효능:

 - 위장이 약한 이들에게 좋다. 소화제로도 쓰인다. 고기를 먹고 난 후 특히 좋다.

 - 산후 여성에게 좋다.

 -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준다.

 - 고지혈증 예방에 좋다.

[출처] 산사열매|작성자 러브리연이

 

 

 

 

산사열매의 효능| ☞ ………산약초야생화
행운 조회 196 |추천 0 | 2011.02.15. 00:24
//

    산사자[아가위]효능

 

 

 

약명 ; 산사자[아가위]

고기 먹고 체한데에 효험이 있으며 고혈압, 심장병, 소화불량과
고지혈증 치료에 특히 좋은 효능이 있다

산사나무(山査子,山査肉 생약명:산사자,산사육)


산사육, 찔광나무, 찔광이, 애광나무, 동배나무등의 속명이 있다.
이나무의 열매를 산사라 부르며 약재로 쓰인다.
 
잎은 어긋달리고 길이가 2.5~7cm 폭은 1~4cm정도로 잎 아랫쪽은 쐐기 형태를 하고, 위쪽은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4,5월경에 작은 가지에서 산방화서로 2cm로 정도의 조금 큰 흰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2cm정도의 구형으로 연홍색을 띠다가 9월경에 붉게 익는다.
외면은 황갈색을 띠고 쭈글쭈글하며 끝에는 주두(柱頭)의 잔가지가 남아있고 안쪽은 갈색이나 연홍색이다.

가을에 익는 열매를 따서 말린것을 산사육이라하고 한방에서는 건위 소화(消化)의 처방에 없어서는 안되는 생약으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쓰고 설사, 이질, 생리통, 동상, 건위, 요통, 장출혈, 산후 오로증등에도 쓴다.
약리 실험에서도 위액의 분비와 소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인정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 할때 산사 몇 알을 넣으면 고기가 부드럽고 연해지며, 과즙은 숙취를 풀어주므로 주객들이 즐겨 마신다.

또 젖먹이가 젖에 체했을때 즙을 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이고 음식을 과도하게 먹고 신물이 올라 올때 달여서 마시면 신기할 정도로 잘 듣는다.


산사자는 산사(山査)나무의 열매를 말린것으로 차를 끓이거나 한약재로 사용한다.


▶약재에 대하여


아가위나무는 배나무과에 딸인 낙엽활엽중간키나무로 키가 4~5m쯤 자라고 잎 모양은 단풍나무 잎을 닮았다.

4~5월에 하연 꽃이 피고 9~10월에 타원 꼴의 지름 0.5~1cm쯤되는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 산사, 적과자, 산과자, 찔광이, 질구배, 아가배, 찔배나무 등으로 불리고 있다.

그 열매가 아가위인데, 맛이 시고 달며 아이들이 더러 따서 먹는다. 중국에서는 아가위에 엿을 발라 고치에 꿰어 얼려서 시장에서 파는데, 겨울철 과일로 인기가 있다. 중국 아가위는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보다 열매가 2~3배쯤 크다.

▶약성 및 활용법


아가위는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달다. 음식을 잘 소화되게 하고 혈압을 낮춘다. 삶아서 즙을 마시면 설사를 멎게 한다. 또 옻이 오른 데에도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에 있는 아가위의 약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아가위는 음식을 소화시키고 육적(고기에 체한 것)과 담음(늑막염), 함산(위산과다), 체혈통(어혈)을 없앤다. 두통을 없애고, 뿌리는 적취를 다스리고 반위(구토)를 치료한다. 오래된 것일수록 좋은데 쪄서 씨를 버리고 말려서 쓴다."

아가위는 심장부정맥이나 심근염 등 심장병에도 효과가 있다. 고혈압에는 아가위 열매보다 잎을 말려서 달여 먹는 것이 더 좋은 효과를 본다.

아가위 꽃도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탁월하다. 아가위는 핏속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작용이 뚜렷한데 아가위 꽃이 그 작용이 가장 세다.

음식 재료로도 널리 쓴다. 쪄서 씨앗과 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다음 엿과 버무려 아가위 떡을 만들기도 하고, 잼을 만들기도 하며 청량음료의 원료로도 쓴다.

아가위는 익혀서 먹을 수도 있다. 소화불량을 고치는 약으로도 이름이 높고, 생선이나 고기를 삶을 때 아가위를 넣으면 고기살이 부드러워질 뿐 아니라 해독작용이 있어 중독을 미리 막을 수 있다.

특히 육류를 많이 먹어서 체했거나 소화가 안 될 때, 속이 더부룩할 때 효과가 좋다. 산사에는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가 들어 있는데, 이 효소가 소화액을 잘 나오게 한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고혈압이나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에는 산사 열매 말린 것 35~50g을 진하게 달여서 하루 3~4번 나누어 마신다.

산사 열매에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류의 흐름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어 혈압을 완만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낮춘다. 특히 핏속의 지방질을 없애는 효력이 크므로 동물성 지방질을 많이 먹어서 생긴 고혈압과 심장질환에 효과가 크다.

▶ 부인들의 하혈에는 아가위를 말려 가루 내어 쑥을 달인 탕과 같이 먹는다

▶ 고기 먹고 체한 데에는 아가위 15g을 물에 달여 한 번에 마신다.

▶ 노인들의 심한 요통에 아가위씨와 녹용을 같은 양으로 하여 볶아서 가루 내어 꿀로 알약을 지어 복용한다. 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알씩 하루 2번 먹는다.

▶ 개고기 먹고 체한 데에는 살구씨와 아가위 각 24개를 한꺼번에 푹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곧 풀린다.

▶ 임질에 걸렸을 때 아가위를 태워서 가루 내어 꿀로 알약을 만들어 복용한다.

▶ 산후 복통에는 오래 묵은 아가위와 계지를 각 15~20g씩 진하게 달여서 복용한다.



 

▶산사나무효능


◈강심제(强心劑):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강장보호(腔腸保護):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건위(健胃):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고혈압(高血壓):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동상(冬傷): 잔기자 또는 열매를 달여서 그 물에 3~4회 환부를 담근다. 담근 물을 버리지 말고 계 속쓰도록 한다.


◈복통(腹痛):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상기(上氣):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설사(泄瀉):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소화불량(消化不良):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식욕부진(食慾不振):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어혈(瘀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요통(腰痛): 열매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월경이상(月經異常):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위염(胃炎):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급성).


◈위팽만(胃膨滿):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유즙결핍(乳汁缺乏):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장/위(腸胃): 카타르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장염(腸炎):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장출혈(腸出血):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주독(酒毒):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진통(陣痛):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토사 곽란(吐瀉?亂):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혈압강하(血壓降下):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모과 열매처럼 쿠엘세틴, 오레아놀산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뇨작용을 하며, 비타민B1, 비타민 C,칼로틴, 클로로겐산 등을 함유하고 있어 산후 복통, 숙취, 건위, 소화 불량, 만성 설사에 효과적이다. 

 

 

산사 열매의 효능 | ♣〓일상 정보공유〓♣
백담그린민박 조회 398 |추천 0 | 2010.10.13. 20:43
//

 

산사 열매의 효능

 

 

 

 

고혈압 심장병 소화불량을 고치고 체한것을 내리게한다


산사는 음식 재료로도 널리 쓴다.

 

쪄서 씨앗과 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다음 엿과 버무려 산사 떡을 만들기도 하고,

 

잼을 만들기도 하며 청량음료의 원료로도 쓴다.

 

산사는 익혀서 먹을 수도 있다.


고혈압, 심장병, 소화불량을 고치고 체한 것을 내린다


산사는 소화불량을 고치는 약으로 이름 나 있다. <물류상감지>라는 책을 보면 “늙은 닭의 질긴 살을 삶을 때에는 산사 열매를 넣으면 고깃살이 부드러워진다.”고 적혀 있다.

 

생선이나 고기를 삶을 때 산사를 넣으면 잘 물러질 뿐만 아니라 해독작용도 있으므로 중독을 미리 막을 수 있다.

 

 산사 열매는 특히 육류를 많이 먹어서 체했거나 소화가 안 될 때, 속이 더부룩할 때에 효과가 좋다.

 

 산사에는 지방을 부해하는 효소가 들어 있는데 이 효소가 소화액을 잘 나오게 한다. 산사는 특히 어린이와 산모가 많이 먹을수록 좋다.

 

음식을 잘 소화되게 하고 혈압을 낮춘다. 삶아서 즙을 마시면 설사를 멎게 하고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몸을 씻으면 종기나 염증을 치료한다.

 

 또 옻이 오른 데에도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에는 이렇게 적혔다.
산사는 음식을 소화시키고 육적(고기에 체한 것)과 담음(늑막염), 함산(위산과다), 체혈통(어혈)을 없앤다.

 

 두통을 없애고, 뿌리는 적취를 다스리고 구토)를 치료한다. 어혈을 없애고 촌충을 죽이는 작용도 있다. 오래된 것일수록 좋은데 쪄서 씨를 버리고 말려서 쓴다.

산사뿌리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음식물이 체한 것을 내리고 풍을 제거하며 피나는 것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고 관절통을 없앤다. 식적, 이질, 관절통, 각혈을 치료한다. 산사나무 줄기도 같은 효력이 있되 성질이 약간 차고 가려움증을 치료하는데 좋다.

산사잎
잎과 꽃을 차로 달여서 마시면 고혈압을 치료한다.

 


출처 :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어린양의 아내)
글쓴이 : 선한 사마리아 원글보기
메모 :